졸업 후 진로
분야 | 직업 |
---|---|
연구 및 개발 | 교수, 연구직 공무원, 대학 연구원, 국공립 연구기관 연구원, 기업 연구원(제약, 바이오, 화학, 식품 등), 의학/생명과학 연구원(병원, 의료기관), 임상 연구 코디네이터, 특허 전문가, 기술 이전 및 사업화 전문가, 프로젝트 매니저 |
제조 및 산업 | 바이오 의약품 제조 및 공정 기술자, 품질관리/보증 전문가, 규제 사무 전문가(RA), 의료기기/진단키트 개발자, 생물 소재 및 화학 제품 개발자, 화장품/건강기능식품 개발자, 종자/육종 전문가, 식품 가공/저장 기술자, 마케팅/영업 전문가 |
규제 및 정책 | 행정부처 공무원, 정부 정책 입안 및 규제 전문가, 식품 위생/안전 전문가, 생명윤리 정책 전문가, 바이오 안전성 평가 전문가, 농식품 검역관, 환경부 생물자원관리자 |
서비스 및 정보 | 생물정보학자(바이오인포매티션), 의료정보 분석가, 생명과학 데이터 큐레이터, 과학기술 저널리스트/커뮤니케이터, 생명공학/과학 교육 전문가 및 강사 |
취득 자격
국가자격 | 기술지도사(생명공학),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생물분류기사(식물), 종자기사, 품질경영기사 |
---|---|
민간자격 | 생물안전관리사(한국생물안전협회), 생명과학지도사(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중장기 발전계획 : 특화분야의 선도적 학부 지향
차별화 전략
- 교육부분 글로벌 인재 양성
- 학부와 대학원 교육의 연계 활성화 실험교육의 내실화
- 학부 연구 프로젝트과목 강화
- 산학협동 연계 프로젝트 강화
세계화 전략
- 연구부분 선택과 집중으로 선도적 연구역량 확보
- 우수 교수진 확보
- 대학원 교육 지원체제 확충
- 대형 국제 연구사업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