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나노학전공
인류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화학기초이론 및 응용화학 교육을 통하여, 화학전문 분야 및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화학자를 양성합니다.
전화번호 | 031-330-6148 |
---|---|
팩스번호 | 031-330-6980 |
위치 | 차세대과학관 2층 |

전공소개 및 특성
화학나노학전공은 1985년 11월 시작된 이래 1988년 11월 석사과정, 1991년 11월 박사과정이 신설되어 많은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화학의 전통적인 기초분야 및 폭넓고 심도 있는 전공과정을 두고 화학나노학전공의 기본원리와 과학자로서의 연구방법을 터득하도록 교육하고 있다.
최근 기계, 전자, 재료, 화공 등의 인접학문에 응용되어 거의 모든 이공분야에 파급효과가 가장 큰 학문으로 그 비중을 더해가고 있다.화학나노학전공을 졸업하면 일반적으로 모든 신소재관련분야, 전자, 비료, 농약, 제약, 페인트, 화장품, 식품, 섬유, 석유화학, 플라스틱, 의료 기구 등 물질을 제조하는 모든 회사에 취직할 수 있고, 이러한 제조회사를 직접 경영하는데 그 어느 학과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다. 특히 무한 경쟁사회의 첨단 기술을 지향하는 산업사회에서 필요한 IT (정보통신기술), BT (생명기술), ET (환경기술), NT (나노기술) 등의 분야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응용화학·기술 분야에 진출할 수 있다.
교육목표
인격과 교양을 갖추고 국가와 나아가서 인류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화학기초이론 및 나노기술과 응용화학 교육을 통하여, 화학나노학 분야 및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화학자 및 나노과학자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연혁
2025.03. | 화학과에서 화학나노학전공으로 편제 개편 |
---|---|
2008.02. | 전국대학교 화학과 평가 “최우수그룹” 선정 |
2005.04.21. | 모집단위 변경 |
2004.03. | 이과대학에서 자연과학대학으로 편제 개편 |
2002.03. | 이학계열의 학부제로 개편 |
1999.03. | 수학,물리,화학 계열의 학부제로 개편 |
1993.02. | 제1회 박사배출 |
1992.08.21. | 제1회 박사과정 모집 |
1991.11.16. | 화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
1991.02.25. | 제1회 석사배출 |
1990.02.25. | 제1회 학사배출 |
1989.10.28. | 캠퍼스별 계열화 |
1989.03.01. | 화학과 석사과정 모집 |
1988.11.30. | 화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신설 |
1987.10.23. | 화학과 10명 증원 |
1986.03.01. | 제1회 화학과 학사과정 모집 |
1985.11.05. | 용인캠퍼스 이과대학에 화학과 신설 |
1983.03.08. | 대학본부를 용인 캠퍼스로 이전 |
1963.01.28. | 학교법인 명지학원 조직 |
전공이수로드맵
-
계열교양 기초과목
-
- 계열교양기초 필수과목
- 화학, 화학실험1, 화학실험1
-
- 계열교양기초 선택과목
-
미적분학1, 미적분학2, 통계학개론 중 2과목선택
[생물학1, 생물학2, 생물학실험1, 생물학실험2]또는
[물리학1, 물리학2, 물리학실험1, 물리학실험2] 택 1
-
-
심화과목
-
- 기초 및 고급 화학
-
- 무기화학1,2
- 무기화학실험1
- 유기화학1,2,3
- 유기합성화학
- 유기화학실험1,2
- 물리화학1,2,3
- 물리화학실험1,2
- 기기분석분광학
- 기기분석전기화학
- 분석화학1,2
- 분석화학실험
- 고분자화학기초
- 생화학
- 컴퓨터화학
-
- 기초 나노 및 나노융합소재학
-
- 나노화학기초
- 나노화학실험
- 나노바이오및나노소재
- 에너지소재디자인및작동원리
- 에너지소재모델링
- 에너지소재촉매반응
- 기능성고분자소재
- 무기물및소재합성론
- 에너지화학
-
전공변경 및 전입사정 기준
대학 | 전공 | 전입사정 기준 | 비고 |
---|---|---|---|
화학·생명과학대학 | 화학나노학전공 | 성적(50%),면접(30%), 전공적성(20%)로 종합평가 |
교과과정
학년 | 학기 | 교과목명 | 학점수 | 시간 | 이론/실습 |
---|---|---|---|---|---|
2 | 1 | 무기화학1 | 3 | 3 | 3 / 0 |
2 | 1 | 물리화학1 | 3 | 3 | 3 / 0 |
2 | 1 | 분석화학1 | 3 | 3 | 3 / 0 |
2 | 1 | 유기화학1 | 3 | 3 | 3 / 0 |
2 | 1 | 생화학 | 3 | 3 | 3 / 0 |
2 | 2 | 무기화학2 | 3 | 3 | 3 / 0 |
2 | 2 | 물리화학2 | 3 | 3 | 3 / 0 |
2 | 2 | 컴퓨터화학 | 3 | 3 | 3 / 0 |
2 | 2 | 유기화학2 | 3 | 3 | 3 / 0 |
2 | 2 | 분석화학2 | 3 | 3 | 3 / 0 |
3 | 1 | 무기물 및 소재합성론 | 3 | 3 | 3 / 0 |
3 | 1 | 무기화학 실험1 | 2 | 4 | 0 / 4 |
3 | 1 | 물리화학3 | 3 | 3 | 3 / 0 |
3 | 1 | 물리화학실험1 | 2 | 4 | 0 / 4 |
3 | 1 | 유기화학3 | 3 | 3 | 3 / 0 |
3 | 1 | 유기화학실험1 | 2 | 4 | 0 / 4 |
3 | 1 | 나노화학실험 | 2 | 4 | 0 / 4 |
3 | 2 | 에너지소재 디자인 및 작동 원리 | 3 | 3 | 3 / 0 |
3 | 2 | 에너지 소재 모델링 | 3 | 3 | 3 / 0 |
3 | 2 | 고분자화학 기초 | 3 | 3 | 3 / 0 |
3 | 2 | 유기합성화학 | 3 | 3 | 3 / 0 |
3 | 2 | 나노화학 기초 | 3 | 3 | 3 / 0 |
4 | 1 | 기능성고분자소재 | 3 | 3 | 3 / 0 |
4 | 1 | 기기분석:분광학 | 3 | 3 | 3 / 0 |
4 | 1 | 에너지소재/촉매반응 | 2 | 4 | 0 / 4 |
4 | 1 | 나노바이오 및 나노소재 | 3 | 3 | 3 / 0 |
4 | 2 | 물리화학실험2 | 2 | 4 | 0 / 4 |
4 | 2 | 유기화학실험2 | 2 | 4 | 0 / 4 |
4 | 2 | 분석화학실험 | 2 | 4 | 0 / 4 |
4 | 2 | 기기분석:전기화학 | 3 | 3 | 3 / 0 |
4 | 2 | 에너지화학 | 3 | 3 | 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