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courseSbject,fnctNo=36
과목번호 | 과목명 | 1학기 | 2학기 | 계 | |||
---|---|---|---|---|---|---|---|
학점 | 시간 | 학점 | 시간 | 학점 | 시간 | ||
식영201 | 식품학 | 3 | 3 | ||||
과목소개 | 식품 구성성분, 식품안전성, 식품독성, 식품가공 및 저장 그리고 유통에 관련되는 기술의 과학적 원리, 역사적 전망 및 최근의 동향을 다룬다. | ||||||
식영233 | 푸드테크 | 3 | 3 | ||||
과목소개 | 지속가능한 식품 산업과 경제를 위해 식품(food)과 기술(technology)이 합쳐진 학문. - 바이오, 나노, 정보통신, 로봇 등 첨단 기술이 식품과 융합된 혁신기술에 대해 학습. - 배양육/대체육, 3D 프린팅, 건강기능식품, 커머스 등에 담긴 과학기술에 대해 이해. | ||||||
식영256 | 인체생리학 | 3 | 3 | ||||
과목소개 |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각 기관 시스템의 역할과 상호작용을 이해한다. | ||||||
식영263 | 실험조리 및 실습 | 3 | 4 | ||||
과목소개 | 식품의 조리, 가공, 저장 중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이해함으로써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조리를 계획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
식영264 | 공중보건학 | 3 | 3 | ||||
과목소개 | 환경위생, 지역 보건, 보건행정, 가족계획, 보건 서비스, 사회 보험 등에 대한 개념을 자세하게 학습한다. | ||||||
식영267 | 단체급식관리 | 3 | 3 | ||||
과목소개 | 미래의 급식소 관리자, 급식 관련 산업 종사자로서 식품영양 전문인이 알아야 할 급식관리에 관한 지식, 실무 기술과 능력을 습득한다. | ||||||
식영268 | 영양생화학 | 3 | 3 | ||||
과목소개 | 영양소의 대사 경로와 생화학적 반응을 통해 인체 내 영양소의 기능과 중요성을 이해한다. | ||||||
식영271 | 기초영양학 | 3 | 3 | ||||
과목소개 | 식품영양학과 모든 학생에게 필수적인 과목으로 영양소 요구량, 그 영양소의 기능, RDAs, 식사 패턴, 식사 관련 질환 등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영양 원리를 학습한다. | ||||||
식영272 | 영양화학 및 실험 | 3 | 4 | ||||
과목소개 | 영양소의 화학적 특성과 변화를 이론과 생화학적 실험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식영273 | 식생활과 문화 | 3 | 3 | ||||
과목소개 | 식생활의 문화적인 의미와 다양성을 이해하고 음식문화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을 갖도록 하여 영양학적 측면에서의 음식문화 연구 방법과 미래 식생활 문화의 발전적 변화 방향을 모색한다. | ||||||
식영303 | 식품위생법 | 3 | 3 | ||||
과목소개 | 식중독 발생의 최신동향, 식품과 식품가공환경에 관련되는 미생물적, 화학적, 물리적 유해성, HACCP 프로그램의 계획 및 시행, 식품 가공 공정과 식품서비스 시스템을 관리하는 법과 시행령의 해석 및 시행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다. | ||||||
식영352 | 식사요법 및 실습 | 3 | 4 | ||||
과목소개 | 각 질병의 정의와 원인, 증상 및 영양소 대사 변화를 배우고 그에 따른 질병별 식사요법을 익힌다. | ||||||
식영358 | 식생활관리 | 3 | 3 | ||||
과목소개 |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식생활관리에 필요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능력을 개발하여 식생활 전반에 걸쳐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
식영363 | 조리원리 및 실습 | 3 | 4 | ||||
과목소개 | 식품 종류별로 식품의 특성과 조리의 성질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조리의 기초를 다지며 세계 주요 국가의 조리법에 대한 지식을 함양한다. | ||||||
식영365 | 식품영양분석 및 실험 | 3 | 4 | ||||
과목소개 | 식품의 영양 성분을 분석하는 다양한 기법을 실습하고, 이를 통해 식품의 정성·정량적 평가와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
식영367 | 보건사업관리 | 3 | 3 | ||||
과목소개 | 보건사업의 개념과 특성부터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이해, 보건사업 기획, 국민건간생활실천사업의 4대 주제까지?다루며?보건교육사를 이해하기위한 기초 과목이다. | ||||||
식영370 | 식품재료학 | 3 | 3 | ||||
과목소개 | 식품 상품의 과학적 특성을 소개하고, 질적 향상과 소비자들에 대한 상품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 구성과 물리적 질감, 식품 구성 요소의 기능적 성질에 대하여 강조되어진다. | ||||||
식영371 | 영양판정 및 실습 | 3 | 4 | ||||
과목소개 | 전산화된 식이 분석 시스템, 국가적인 식이 섭취와 영양 상태에 대한 조사, 일반인과 환자들에 대한 관리 기술과 기준, 만성질환 예방에 있어서의 영양적 평가 등의 주제를 다룬다. | ||||||
식영373 | 고급영양학 | 3 | 3 | ||||
과목소개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의 소화와 흡수, 대사, 생화학적 기능과 요구량에 대하여 학습하며 인체 내 영양소 이용과 영양적 문제에 대한 최근 연구에 대하여 토론한다. | ||||||
식영374 | 식품화학 및 실습 | 3 | 3 | ||||
과목소개 | 식품 구성성분의 유기적 및 생물적 반응과 식품의 조직, 색깔, 맛과 향미, 안전성 및 영양적인 질에 영향을 미치는 식품의 가공 및 저장시 화학적 변화를 다룬다. | ||||||
식영375 | 영양교육 및 상담 | 3 | 4 | ||||
과목소개 | 식행동 개선을 위하여 조정자가 되는 사람들에 대한 영양 교육과 상담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집단 교육과 개인 상담의 기회를 제공한다. | ||||||
식영376 | 식품미생물학 | 3 | 3 | ||||
과목소개 | 식품의 질을 좌우하는 데 이용되는 미생물의 원리에 대하여 학습하고 식중독에 관련된 주요 병원성 미생물과 그 분류, 생리 기능, 역학, 병인, 동정 및 관리에 대하여 탐구한다. | ||||||
식영402 | 급식경영학 | 3 | 3 | ||||
과목소개 | 미래의 급식소 관리자, 급식 관련 산업 종사자, 급식 관련 정책결정자로서 식품영양 전문인이 알아야 할 경영학의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 ||||||
식영421 | 지역사회영양학 | 3 | 3 | ||||
과목소개 | 영양의 문제를 사회적, 경제적 요인, 보건 환경 또는 실질적인 문제의 해석을 통하여 이해하며 지역사회나 국민의 영양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접근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식영423 | 식품영양 커뮤니케이션 | 3 | 3 | ||||
과목소개 | 식품과 영양 과학 기초: 영양소의 기능, 식품의 성질과 안전성에 대한 이해. 커뮤니케이션 이론: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을 위한 이론과 실제 사례 분석. 대중 소통 기술: 프레젠테이션, 글쓰기, 소셜 미디어 활용법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술 연습. | ||||||
식영433 | 기능성식품학 | 3 | 3 | ||||
과목소개 |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성 식품의 종류와 그 효과와 작용 메커니즘을 학습하고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지식을 함양한다. | ||||||
식영435 | 식품가공학 및 실험 | 3 | 3 | ||||
과목소개 | 식품가공저장의 기초지식과 신소재 및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가공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인 내용을 다룬다. | ||||||
식영437 | 생애주기영양학 | 3 | 3 | ||||
과목소개 | 인간의 생애 단계별로 변화하는 영양 요구량과 건강한 식단을 구성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맞춤형 영양 관리와 건강 증진 방안을 제시한다. | ||||||
식영439 | 임상영양학 | 3 | 3 | ||||
과목소개 | 각종 질병의 발생기전과 영양과의 관계 및 증상을 알고, 영양이론을 이용한 관리와 개선방법과 예방법에 대하여 배운다. | ||||||
식영440 | 조사방법론 | 3 | 4 | ||||
과목소개 | 과학적 조사방법론의 필요성과 의의를 알고 보건학과 식품영양학에서 조사 방법론의 중요성을 학습한다. | ||||||
식영442 | 발효식품학 및 실습 | 3 | 3 | ||||
과목소개 |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는 발효에 대해서 정확한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실험/실습을 통해 발효, 식품 전문가 의 자질을 갖추는 교육과정을 지닌다. | ||||||
식영512 | 운동영양학 | 2 | 2 | ||||
과목소개 | 건강한 사람들의 운동 수행 능력을 최대화하는 영양학적 방법을 학습하고,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운동과 영양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 ||||||
식영521 | 관능검사 및 실습 | 3 | 4 | ||||
과목소개 | 관능검사 방법과 식품 품질의 평가시 일어나는 심리적, 생리적, 감정적, 기호적 반응의 발생 기전과 그 영향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실제 산업체 및 학계에서의 사용되는 관능검사기술을 습득하고자 한다. | ||||||
식영522 | 보건통계 및 컴퓨터 | 3 | 3 | ||||
과목소개 | 보건분야의 실제 업무에 적합한 기본적인 통계적 개념 및 통계패키지 사용 방법을 학습함으로 현장 실무 및 관련 연구에 필요한 자료처리 능력을 배양한다. | ||||||
식영523 | 영양사현장실습 | 1 | 2 | ||||
과목소개 | 영양사의 실무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직접 다양한 현장에서 영양사의 역할, 급식관리실무 등을 경험해 본다. | ||||||
식영583 | 식품영양 취업세미나 | 2 | 2 | ||||
과목소개 | 식품영양학 분야의 다양한 취업 기회를 탐색하고, 실무 경험과 취업 준비를 위한 전략을 다룬다. 이를 통해 식품영양 관련 직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구체적인 취업 방향을 설정한다. | ||||||
식영 | 인체영양학 및 실험 | 3 | 3 | ||||
과목소개 | 인체의 영양소 대사 및 영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영양학적 이론을 배우고, 그와 관련된 실험 수행 기회를 제공한다. | ||||||
식영 | 식품과 영양의 이해 | 3 | 3 | ||||
과목소개 | 식품영양학과를 소개하며 각 영양소의 기능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갖추도록 하고, 식품학의 기초를 배우며 영양과 건강과의 관련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