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및 특성
컴퓨터공학전공은 1979년 학과로 개설된 후, 2013년까지 배출된 약 3000 여명의 졸업생이 국내외 굴지의 회사, 연구소, 학계, 국영기업체 및 정부기관에 재직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졸업생들이 미투데이, 애니팡 등 성공적인 창업으로 소프트웨어 중심의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컴퓨터공학전공은 창의적인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을 갖추기 위하여 2011년부터 서울어코드 사업을 수주하여 매년 약 6억원씩 7년간 사업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혁신적인 교과과정, 전체 강의 녹화, 최신 기자재 구비, 산학협력 및 인턴십, 해외 대학 교환학생 프로그램, 우수학생 장학금 지원 등을 운영한 바가 있습니다. 또한 2023년 9월부터는 SW(소프트웨어) 및 반도체 전문지식을 갖춘 반도체 산업에 특화된 SW인재 양성을 목표로 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의 반도체장비SW 연계전공을 운영하고 있으며, 산업체 현장 인턴쉽을 통해 학생들의 취업을 돕기 위한 IPP일학습 병행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웨어러블 컴퓨터의 활성화와 더불어 자동차, TV, 로봇, 에너지, 게임, 정보보안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소프트웨어 기술은 날로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정보보안 등 다양한 SW 산업 분야의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소프트웨어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세상을 변화시키는 혁신적인 토대가 될 것입니다.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구글의 래리 페이지, 애플의 스티브 잡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등은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기술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세상을 바꾸는 변화를 이끌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갈 꿈을 가진 젊은이들과 컴퓨터공학전공은 함께하겠습니다.
교육목표
- 교육목표 I. (전공기초)
수학, 기초과학 및 컴퓨터 공학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교육목표 II. (전공실무)
실세계의 컴퓨터공학 문제들을 분석, 설계, 구현하고 이를 관리 운영하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 교육목표 III.(직업정신)
원활한 의사소통, 협동 능력 및 리더쉽을 기반으로, 컴퓨터기술이 사회, 경제, 윤리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지속적 탐구 정신을 통해 컴퓨터 엔지니어로서의 직업정신을 갖도록 한다. - 교육목표 IV. (국제경쟁력)
외국어 능력, 세계 문화 이해 및 컴퓨터공학 국제 표준 이해를 통해 국제적 경쟁력을 갖도록 한다.
연혁
2025.03 | 공과대학-컴퓨터공학과에서 반도체ICT대학-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컴퓨터공학전공으로 학사구조 개편 |
---|---|
2022.09 | 문대경 교수 부임 |
2019.09 | 현상원 교수 부임 |
2018.03 | 조민경 교수 부임 |
2017.09 | 한승철 교수 주임교수 취임 |
2017.03 | 김직수 교수 부임 |
2015.09 | 이명호 교수 주임교수 취임 |
2015.03 | 대학원 보안경영공학과간 협동과정 석ㆍ박사과정 신설, 이강선 교수 주임교수 취임 |
2014.03 | 류연승 교수 주임교수 취임 |
2012.03 | 이충기 교수 주임교수 취임 |
2011.03 | 지식경제부 (현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서울어코드 활성화사업선정 (7 년간), 신민호 교수 부임 |
2010.03 | 컴퓨터공학과와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를 통합하여 컴퓨터공학과로 명명, 최성운 교수 주임교수 취임 |
2006.03 | 공학인증 프로그램인 컴퓨터공학심화 프로그램과 일반프로그램인 컴퓨터공학 프로그램 신설,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1회 졸업생 배출. 공학인증프로그램인 컴퓨터 소프트웨어학 심화 프로그램 신설 |
2002.03 | 컴퓨터학부를 컴퓨터공학과로 통합 변경,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 최우수학과 및 대학원 인증, 전자정보통신공학부에서 컴퓨터소프트웨어 학과 분리 |
1999.03 | 컴퓨터공학과를 컴퓨터학부(컴퓨터과학 전공, 컴퓨터공학전공)로 확대 개편 |
1998.02 | 15회 졸업생 배출, 전자정보통신공학부로 명칭 변경 |
1993.03 | 컴퓨터공학과로 명칭 변경 |
1992.11 | 연구실 확충 및 워크스테이션 도입, 정보통신공학과 개칭 |
1991.03 | 대학원 박사과정 신입생 모집 (3명) |
1990.11 | 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응용전자공학과 설립 |
1989.01 | 연구실 확충 및 슈퍼 마이크로컴퓨터 도입 |
1988.03 | 입학인원 조정 (입학인원 100명) |
1987.02 | 대학원 석사과정 제1회 졸업생 배출 (5명) |
1986.03 | 입학인원 조정(입학인원 100명) |
1985.03 | 대학원 석사과정 신입생 모집 (5명) |
1984.03 | 대학원 석사과정 신설 (11. 27) |
1984.02 | 제1회 졸업생 배출(18명), 입학인원 증원(156명), 대학원 석사과정 신설(11.27) |
1980.03 | 전자계산학과 신입생 모집 (정원 40명) |
1979.10 | 전자계산학과 신설 |
교과과정
이수학점
공통교양 | 핵심교양 | 학문기초교양 | 일반교양 | 전공 | 자유선택 | 총 학점 |
---|---|---|---|---|---|---|
17 | 12 | 15 | 10 | 70 | 10 | 134 |
학문기초교양 교과목
영역 | 교과목명(학점) |
---|---|
수학 | 미적분학1(3), 통계학개론(3), 공학수학1(3), 이산수학개론(3), 선형대수학개론(3) |
- 이수학점(학문기초교양 교과목 포함) 적용대상자 - 2024학년도 이후 입학생 및 2027년 8월 이후 졸업생
- 공과대학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유효기간은 2027.2.28.까지 유지 후 종료
- 2027년 2월 이전 졸업대상자 중 공학교육인증 이수자는 이수학점 및 관련 교과목은 공학교육혁신센터로 문의
전공 교과목 (2025학년도)
학년 | 교과목명(학점) |
---|---|
1학년 | C언어(3), 공학입문설계(3), 컴퓨터공학세미나1(1), 객체지향프로그래밍1(3), C언어연습(1) |
2학년 | 객체지향프로그래밍2(3), 자료구조(3), 컴퓨터하드웨어(3), 컴퓨터공학세미나2(1), 시스템분석및설계(3), 웹프로그래밍(3), 고급객체지향프로그래밍(3), 팀프로젝트1(3), 컴퓨터공학콜로키움(1), 공개SW실무(3) |
3학년 | 컴퓨터네트워크(3), 데이터베이스(3), 운영체제(3), 소프트웨어공학(3), 컴퓨터아키텍쳐(3), 팀프로젝트2(3), 기계학습(3), 알고리즘(3), 시스템프로그래밍(3), 임베디드시스템(3), 데이터베이스설계(3), 정보보안(3), 자기주도학습1(2), 모바일프로그래밍(3), 딥러닝(3) |
4학년 | 캡스톤디자인(3), 컴퓨터그래픽스(3), 컴퓨터공학특론1(3), 자기주도학습2(2), 시스템클라우드보안(3), 블록체인(3), 4차산업혁명과기업가정신(3), 컴퓨터공학특론2(3), 클라우드컴퓨팅(3), 백엔드소프트웨어개발(3), 프로그래밍언어(3), 그래프신경망과빅데이터(3) |
교과목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니 전공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확인.
전공변경 및 전입사정 기준
대학 | 전공 | 전입사정 기준 | 전입사정 세부 기준 | 비고 |
---|---|---|---|---|
반도체·ICT 대학 |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
성적(70%) 학업소개서/ 자기소개서(30%) |
- 전입 사유의 타당성 - 전입 후 수학능력에 대한 평가(수강과목 등) - 전공 적합성, 인성, 태도 등 |
- 대학 홈페이지 학사공지에 전과 및 전입사정 기준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