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및 특성
전자공학전공은 21세기 우리나라의 선진 산업을 주도할 최첨단 공학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 학과로서 차세대 우리나라의 전자, 정보 및 통신기술 분야에서의 연구개발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최상의 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충분한 이론강의와 최신의 실험실습 기자재를 이용한 실무교육에 중점을 두고, 밀도 높은 전문교육을 시키고 있다.
전자공학전공에서는 우수하고 능력있는 교수요원 및 연구인력 양성을 위하여 나노반도체소자연구실, 컴퓨터비전연구실, 차세대시스템설계연구실, 초고주파응용연구실, 시스템온칩설계연구실, 임베디드시스템연구실, 차세대집적소자연구실, 지능형유무선전송연구실, 지능형통신네트워크연구실,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연구실, 혼성신호IC연구실, 로봇및지능임베디드SW연구실의 10개 12개 전문연구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최신의 첨단장비를 구비하여 지도교수의 철저한 책임지도 하에 많은 국책연구 과제는 및 인력양성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교육목표
교육목표 Ⅰ(기본지식 이해 및 응용 능력 배양)
- 전자공학의 기초 지식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학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I-I. 수학, 기초과학, 전자공학 기초 지식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I-II. 공학문제를 해결하는데 수학, 기초과학, 전공지식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
교육목표 Ⅱ(설계와 실무능력 배양)
- 전자공학 분야의 전문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인 설계능력과 스스로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 II-I. 전자공학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갖춘 설계능력
- II-II. 사회에서 요구하는 기술 및 제품을 개발 할 수 있는 실무능력
교육목표 III(의사소통 및 팀워크 능력 함양)
- 세계화에 따른 공학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과 팀워크 능력을 함양한다.
- II-I. 전자공학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갖춘 설계능력
- II-II. 사회에서 요구하는 기술 및 제품을 개발 할 수 있는 실무능력
교육목표 Ⅳ (윤리관 형성 및 평생교육 능력 배양)
- 인류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윤리관을 형성시키며 지속적인 자기 개발을 위한 평생교육에 참여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IV-I. 전자공학 분야 새로운 지식과 기술개발에 있어 바른 윤리관을 바탕으로 기여할 수 있는 능력
- IV-II. 지속적인 탐구정신으로 자기 개발을 위한 평생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
연혁
2006.03. | 전자공학과로 개칭 |
---|---|
2002.03. | 공과대학 전기전자공학계열 전자공학과로 변경 |
1997.11. | 공과대학 전자정보통신공학부로 변경 |
1995.03. | 공과대학 전기전자공학부로 변경 |
1989.08. | 명지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용인캠퍼스 전자공학과의 용인캠퍼스로 발전적 통합 |
1978.12. | 명지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인가 |
1978.10. | 명지대학 용인캠퍼스에 전자공학과 인가 |
1974.12. | 명지대학 전자공학과 2부 신설 |
1970.01. | 명지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인가 |
1968.03. | 명지대학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인가 |
교과과정
이수학점
공통교양 | 핵심교양 | 학문기초교양 | 일반교양 | 전공 | 자유선택 | 총 학점 |
---|---|---|---|---|---|---|
17 | 12 | 25 | 0 | 70 | 10 | 134 |
학문기초교양 교과목
영역 | 교과목명(학점) |
---|---|
수학 | 미적분학1(3), 미적분학2(3), 공학수학1(3), 공학수학2(3) |
과학 | 물리학1(3), 물리학2(3), 물리학실험2(1) |
컴퓨터 | C언어(3), 파이썬프로그래밍입문(3) |
- 이수학점(학문기초교양 교과목 포함) 적용대상자 - 2024학년도 이후 입학생 및 2027년 8월 이후 졸업생
- 공과대학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유효기간은 2027.2.28.까지 유지 후 종료
- 2027년 2월 이전 졸업대상자 중 공학교육인증 이수자는 이수학점 및 관련 교과목은 공학교육혁신센터로 문의
전공 교과목 (2025학년도)
학년 | 교과목명(학점) |
---|---|
1학년 | 디지털논리회로(3), 공학입문설계(3) |
2학년 | 회로이론(3), 고급C언어(2), 전기자기학(3), 기계공학입문(3), 회로실험(1), 기초전자회로(3), 반도체공학(3), 자료구조(3), 디지털시스템(3), 컴퓨터구조(3) |
3학년 | 지능형센서응용(3), 전자회로(3), 신호및시스템(3), 마이크로파공학(3), 반도체소자(3), 컴퓨터그래픽스(3), SoC설계(3), 통신공학(3), CMOS소자공학(3), RF회로(3), 디지털신호처리(3),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3), 컴퓨터비전시스템(3), 디지털집적회로설계(3), 파이썬수치해석(3) |
4학년 | 반도체패키징(3), 캡스톤디자인1(3), 디지털통신(3), 임베디드시스템(3), 딥러닝(3), 반도체공정(3), 아날로그집적회로설계(3), 캡스톤디자인2(3), 의용전자공학(3), 컴퓨터통신망(3), 뉴로모픽반도체설계(3) |
교과목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니 전공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확인.
전공변경 및 전입사정 기준
대학 | 전공 | 전입사정 기준 | 전입사정 세부 기준 | 비고 |
---|---|---|---|---|
반도체·ICT 대학 | 전기전자공학부 전자공학전공 |
성적(70%) 면접(30%) |
- 이전학과 평균성적 3.8이상 - 전입 사유의 타당성, 전입 후 수학능력에 대한 평가 - 전입학과 전공에 대한 관심도, 사전지식 정도 - 전공 적합성, 인성, 태도 등 - 자기소개서 작성하여 면접시 활용 |
- 대학 홈페이지 학사공지에 전과 및 전입사정 기준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