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어중문학전공
본 전공은 시시각각 변모하는 한·중 양국 간 협력의 다양한 분야를 담당하는 전문적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전화번호 | 02-300-0550 |
---|---|
팩스번호 | 02-300-0504 |
위치 | 본관 7층 |

전공소개 및 특성
명지대학교 중어중문학전공은 1979년 9월 22일 문교부로부터 신설 인가를 받아 1980년 3월 신입생 40명이 입학함으로써 명실상부하게 학과의 면모를 갖추고 출범하였다.
21세기 IT산업의 발전과 함께 사회는 빠른 속도로 정보화ㆍ개방화 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는 다양하고 개방된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전문가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전공은 개방화ㆍ정보화ㆍ특성화된 교과과정 및 훈련과정을 개발ㆍ운영함으로써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인재 육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울러 중국의 문화와 국제 감각을 체험적으로 터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조건을 갖춘 학생들에게 다양한 현지학습의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교육목표
본 전공은 명지학원 설립목적인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시시각각 변모하는 한·중 양국 간 협력의 다양한 분야를 담당하는 전문적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수준 높은 중국어 의사소통능력은 물론이거니와 현재 새롭게 변모되고 있는 중국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을 통해 중국이란 나라에 대해 탄력적이고 실무적인 이해와 사고를 심어준다.
- 전공 운영의 내실화를 통한 능동적 교육여건 마련
- 한·중 양국 간의 다양한 국제교류 활동을 통해 글로벌 마인드 육성
- 수요자 중심의 교과과정 운영을 통한 실무형 인재 육성
연혁
2024.08. | 2023학년도 후기 졸업생 20명 배출 |
---|---|
2024.08. | 산동성 루동 대학鲁东大学으로 단기 하계연수생 17명 파견 |
2024.05. | 마카오 과학기술대학과 학생교류 협의서 체결 |
2022.03. | 코로나 시기 신입생 대상으로 ‘신입생 웰컴미팅’ 진행 |
2021.11. | 코로나로 인하여 하이중문 페스티발을 온라인으로 진행 |
2019.10. | 하이중문 페스티발, 중국어 단막극 진행 |
2018.10. | 원어연극 ‘청춘연애’ 공연 |
2018.02. | 2016학년도 졸업생 53명(전기+후기) 배출 |
2017.11. | 중문인의 밤 행사와 함께 학업성과발표회 진행 |
2017.02. | 2016학년도 졸업생 61명(전기+후기) 배출 |
2016.09. | 원어연극 ‘우리가 잃어버릴 청춘’ 공연 |
2014.09. | 원어연극 ‘奮鬪’ 공연 |
2011.11. | Hi 中文 Festival 개최 |
2010.11. | 제4회 원어연극 ‘車站’ 공연 |
2009.10. | Hi 중문 Festival 개최 |
2009.02. | 현재 총 984명 졸업생 배출 |
2008.10. | 제 3회 원어연극 ‘ 絶對信號’ 공연 |
2008.03. | 중국 中山大學, 嘉興大學에서 현지학습 실시 |
2008.02. | 제 25회 졸업생 32명 배출 |
2006.09. | 중국 中山大學에서 현지학습 실시 |
2004.12. | ‘學海’지 제 5호 발간 |
2004.09. | 중국 南京大學과 학술교류 협정 및 학점교류 협정 체결 |
1998.11. | 중국 中央民族大學과 자매결연 체결 |
1996.04. | 중국 人民大學과 자매결연 체결 |
1995.03. | 교육대학원 중국어 교육과정 인가 |
1993.06. | 중국 西安交通大學과 자매결연 체결 |
1989.11. | 제 2회 원어연극 '嚴子與妻' 공연 |
1988.02. | 중어중문학과 학과지 '學海' 창간호 발간 |
1988.01. | 中華民國 國語 日報社 言語中心 語學硏修 28명 |
1987.09. | 제 1회 원어연극 '父母心' 공연 |
1984.03. |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석사과정 인가 |
1980.03. | 신입생 40명 입학 |
1979.09.22. | 문교부로부터 신설 인가 받음 |
1971.11. | 대만 東吳大學과 자매결연 체결 |
필수 교과목 안내
전공필수과목(16학번 이후): 중국문학개론, 중국고문의이해, 중국어문법
15년도 이전 입학자는 주임교수에게 별도 문의할 것
교직필수과목은 교학팀 통해 별도 문의할 것
전공변경 및 전입사정 기준
면접 100%
- 지원자격 : 전체 평균평점 3.0 이상
- 新HSK 3급(2학년 전과) 및 4급(3학년 전과) 이상 또는 이에 준하는 중국어 수학능력을 갖춘자
- 新HSK 5급 이상 자 가산점 부여
교과과정
학년 | 1학기 | 2학기 | ||
---|---|---|---|---|
교과목명 | 학점 | 교과목명 | 학점 | |
1학년 | 중국대중문화 | 3 | 초급중국어회화2 | 3 |
초급중국어회화1 | 3 | 중국인문기행 | 3 | |
2학년 | 중국문학개론 | 3 | 중급중국어회화2 | 3 |
중국어독해1 | 3 | 중국어청취2 | 3 | |
중급중국어회화1 | 3 | 중국의서사와스토리텔링 | 3 | |
중국어청취1 | 3 | 중국의시와노래 | 3 | |
현대문학과중국인 | 3 | 중국어학개론 | 3 | |
3학년 | 고급중국어회화 | 3 | 중국고문의이해 | 3 |
중국어독해2 | 3 | 중문취업세미나 | 3 | |
중국영화의안과밖 | 3 | 중국미디어콘텐츠 | 3 | |
시사중국어독해 | 3 | HSK어법중국어 | 3 | |
중국어문법 | 3 | 미래산업중국어 | 3 | |
4학년 | 중국어작문 | 3 | ||
현대중국사회의 이해 | 3 | 비즈니스중국어회화 | 3 | |
중국음운의이해 | 3 | 미디어중한번역 | 3 | |
비즈니스중국어실용문 | 3 | 중국어문학주제탐구 (캡스톤디자인) | 3 | |
통역의실제 | 3 | |||
교직 | 인터뷰중국어 | 3 | ||
중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 | 3 | 중국어논리및논술 | 3 | |
중국어교과교육론 | 3 |
밑줄 : 전공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