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소개 및 특성
미디어의 디지털 전환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습니다. 우리의 소통방식은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다채널화되고 쌍방향으로 변화했으며, 방송과 디지털의 융합 속도도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AI 기술의 접목으로 미디어 관련 산업과 학문의 경계는 더욱 모호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디어에 대한 지식과 기술도 새로운 접근 방식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미디어학부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응하여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융합한 학제적 교육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AI를 포함한 뉴미디어의 표현, 기술, 환경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지식과 정보를 생산·유통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디지털미디어학부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원칙을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 인간 커뮤니케이션, 저널리즘, 영상(방송·영화·디지털 콘텐츠), 광고·PR 분야는 물론, 인터넷, 모바일, AI, 빅데이터 등 뉴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을 폭넓게 연구하고 교육합니다.
- 이론 교육에 머무르지 않고,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무 중심의 학습을 지향하며, 언·학(言學) 협동 및 산학협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합니다.
- 기술 교육과 평론 교육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유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디지털미디어학부는 다음 트랙(Track)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저널리즘, 방송, 영화, 디지털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획, 제작, 유통 역량을 갖춘 전문 인재를 양성합니다.
-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지털 기술과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상호작용 콘텐츠와 서비스의 기획, 디자인, 개발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 광고·PR: 창의적인 전략과 소통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서 효과적인 광고와 PR 캠페인을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전문 인재를 양성합니다.
교육목표
디지털 뉴미디어 환경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융합 교육을 통해 이론과 실무를 두루 갖춘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분야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연혁
2025.03. | 디지털미디어학부 개설 20주년 |
---|---|
2025.03. | 디지털미디어학과에서 디지털미디어학부로 개편 |
2014.02. | 일반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 개설 |
2010.11. | 스튜디오 오픈 (스튜디오, 조정실, 실습실 설치) |
2005.03. | 디지털미디어학과 신설(정원 30명 입학) |
전공이수로드맵
대상직업군 | 기자, PD, 촬영, 편집, 아나운서직 | 광고·PR직 | 미디어경영직 | ||
---|---|---|---|---|---|
대상기업 | 신문, 프리랜서, 잡지, 인터넷신문 | 지상파TV, 종편, 케이블TV, 라디오, 인터넷방송, 위성방송,프로덕션, 프리랜서 |
광고제작사, 광고대행사, 홍보기획사, 프로덕션, 일반기업 |
방송사, 인터넷미디어, 포털미디어, 이벤트기획사 |
|
3~4 | 전공심화 | 미디어조사방법론, 조직커뮤니케이션, 대중문화연구, 미디어심리학, 미디어특강 | |||
뉴스쟁점분석, 디지털기사작성법, 텍스트미디어제작 |
영상시나리오, TV드라마제작, 영상매체비평,영화커뮤니케이션, 영상의 이론과 실제, 방송의 이론과실제,방송연출론, 다큐멘터리 이론과 실제, TV론 |
광고기획, PR전략, 정치광고론, 쟁점위기관리론, 영상의 이론과 실제, 커뮤니케이션전략, SNS활용 |
미디어경영, 디지털컨텐츠 비즈니스와 경영, 문화예술산업의 이해 |
||
언론의 사회책임론, 연예스포츠저널리즘 | |||||
2 | 전공기초 | 뉴미디어저널리즘 | 디지털영상편집, 영상제작시스템 운용, 방송제작스태프론, 방송제작실습 |
광고학개론, 인터넷광고, 광고와 마케팅, |
미디어산업론 |
취재기사작성, 소통학, 영상커뮤니케이션이론, 광고PR과 설득커뮤니케이션, 뉴미디어이론 | |||||
1 | 전공입문 |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이론, 글로벌커뮤니케이션, 디지털미디어기술사회 |
전과 및 전입사정 기준
대학 | 학부(과) | 전입사정 기준 | 비고 |
---|---|---|---|
미디어·휴먼라이프대학 | 디지털미디어학부 | 성적 (50%) 면접 (50%) |
전출학과의 평균평점 2.5 이상인 자로, 면접위원회 (주임교수포함 전임교원 2~4인)를 구성하여 심사를 통하여 선발한다. |
교과과정
교과과정( : ‘공통’ 전공교과목)
학년-학기 | 교과목 | 학점 | 학년-학기 | 교과목 | 학점 |
---|---|---|---|---|---|
1-1 | 커뮤니케이션이론 | 3 | 1-2 | 미디어의이해 | 3 |
글로벌커뮤니케이션 | 3 | 디지털미디어기술사회 | 3 | ||
2-1 | 뉴미디어저널리즘 | 3 | 2-2 | 광고PR과설득커뮤니케이션 | 3 |
디지털영상편집 | 3 | 광고학개론 | 3 | ||
광고와마케팅 | 3 | 취재.기사작성 | 3 | ||
방송이론과기획 | 3 | InteractiveStorytelling | 3 | ||
방송제작실습 | 3 | 긍정심리학과커뮤니케이션 | 3 | ||
뉴미디어이론 | 3 | 휴먼커뮤니케이션과테크놀로지 | 3 | ||
광고크리에이티브입문 | 3 | 영상커뮤니케이션이론 | 3 | ||
스피치커뮤니케이션과활용 | 3 | 헬스커뮤니케이션 | 3 | ||
미디어산업 | 3 | 디지털시대의미디어리터러시 | 3 | ||
문화간커뮤니케이션 | 3 | ||||
인간컴퓨터상호작용입문 | 3 | ||||
3-1 | 디지털기사작성 | 3 | 3-2 | 저널리즘연구 | 3 |
뉴스쟁점분석 | 3 | 미디어경영 | 3 | ||
영상시나리오 | 3 | PR원론 | 3 | ||
미디어정치캠페인 | 3 | 데이터저널리즘 | 3 | ||
광고기획 | 3 | 개인미디어제작실습 | 3 | ||
미디어조사방법론 | 3 | 영상과콘텐츠제작 | 3 | ||
조직커뮤니케이션 | 3 | 디지털마케팅의전략적접근 | 3 | ||
UI/UX입문 | 3 | 위기커뮤니케이션 | 3 | ||
SNS활용커뮤니케이션전략 | 3 | 영화커뮤니케이션 | 3 | ||
디지털광고 | 3 | ||||
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분석 | 3 | ||||
미디어데이터의이해 | 3 | ||||
4-1 | PR전략 | 3 | 4-2 | 미디어심리학 | 3 |
대중문화연구 | 3 | 웹매거진제작 | 3 | ||
디지털플랫폼비즈니스와경영 | 3 | 미디어특강 | 3 | ||
디지털광고크리에이티브 | 3 | 미디어엔터테인먼트 | 3 | ||
미디어기업입문 | 3 | 미디어기업과인재 | 3 | ||
전 학년 | 미디어와콘텐츠의이해 | 3 | 전 학년 |